소테쓰 이즈미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테쓰 이즈미노선은 후타마타가와역에서 쇼난다이역까지를 잇는 11.3km의 노선이다. 1976년 후타마타가와역-이즈미노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90년 이즈미노역-이즈미추오역, 1999년 이즈미추오역-쇼난다이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3년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및 도큐 신요코하마선 개통에 따라 도큐 도요코선,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등과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열차는 특급, 쾌속, 각역정차 등급으로 운행되며, 소테츠 본선과 직결 운행하여 요코하마역 방면으로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지사와시의 교통 - 후지사와슈쿠
후지사와슈쿠는 1601년 도카이도 역참으로 지정되어 쇼조코지 몬젠마치로 번성했으며, 도쿠가와 쇼군가의 숙박 시설인 후지사와 고텐이 건설되기도 했던 곳으로 현재 고텐베 공원, 후지사와 숙 교류관 등의 지명과 특산물을 통해 그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다. - 197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은 삿포로시 니시구 미야노사와역에서 아쓰베쓰구 신삿포로역을 잇는 삿포로 시 교통국의 지하철 노선으로, 1976년 일부 구간 개통 후 연장되었으며, 2009년 스크린도어 설치 및 원맨 운전이 개시되어 현재 8000형 전동차가 운행 중이다. - 197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레드 라인 (워싱턴 메트로)
워싱턴 D.C. 메트로의 레드 라인은 1976년 개통되어 셰이디 그로브 역에서 글렌몬트 역까지 27개 역을 연결하며 워싱턴 D.C.와 메릴랜드주를 잇는 중요한 노선이지만, 2009년에는 열차 추돌 사고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 요코하마시의 철도 - 요코하마 고속 철도
요코하마 고속철도는 미나토미라이21선 운영을 목적으로 설립된 철도 사업자로, 미나토미라이선과 고도모노쿠니선을 운영하며 여러 노선과의 직통 운전을 통해 요코하마와 도쿄 도심을 연결하고, 자체 차량기지 없이 Y000계와 Y500계 전동차를 운영하고 있지만 부채 부담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요코하마시의 철도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를 운행하는 지하철 시스템으로, 블루 라인과 그린 라인의 두 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테쓰 이즈미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노선 종류 | 통근 철도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소재지 | 가나가와현 |
기점 | 후타마타가와역 |
종점 | 쇼난다이역 |
역 수 | 8 |
일일 승객 수 | 56,843명 (2010년) |
개업 | 1976년~1999년 |
소유주 | 사가미 철도 |
운영자 | 사가미 철도 |
노선 길이 | 11.3km |
궤간 | 1,067mm |
전철화 |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
노선 색상 | '#041452' |
노선 기호 | SO |
역사 | |
개업 | 1976년 4월 8일 |
최종 연장 | 1999년 3월 10일 |
운영 | |
차량 기지 | 가시와다이 차량 센터 가와고에 차량 센터 (JR 동일본 차량) 모토스미요시 검차구 (도큐 차량)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 섹션 참조 |
폐색 방식 | ATS-P |
최고 속도 | 100km/h |
노선 정보 | |
노선 | [[파일:Sagami Railway Linemap.svg|300px]] |
역 목록 | 요코하마역 후타마타가와역 미나미마키가하라역 료쿠엔토시역 야요이다이역 이즈미노역 이즈미추오역 유메가오카역 쇼난다이역 |
연결 노선 | 소테쓰 본선 도카이도 신칸센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오다큐 에노시마선 |
향후 계획 | 히라쓰카시까지 연장 계획 있음 |
2. 역사
- 1976년 4월 8일: 후타마타가와역 - 이즈미노역 구간이 개통되었다.[6]
- 1990년 4월 4일: 이즈미노역 - 이즈미추오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99년 3월 10일: 이즈미추오역 - 쇼난다이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6][13]
2. 1. 개요
이 노선은 원래 가나가와 동부 방면선 계획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간이며, 이 중 요코하마시 서부 구간이 1970년대에 정비된 것이 시작이다.[6] 이와 동시에 연선에 대규모 신도시를 조성하여 건설 자금 회수를 기대했다.2013년 이후의 개발 방침으로, 이즈미노선 연선 지역(후타마타가와 - 유메가오카)은 풍부한 자연 환경과 미이용지를 활용하여 새로운 도시 개발을 하는 모델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7]
"직주 분리"의 일면을 담당하는 신도시 접근 교통에서 볼 수 있듯이 아침 저녁의 러시 아워와 그 외의 시간에서의 이용객 수 변동이 심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건설비 상환을 위해 가산 운임이 설정되어 있어 소테츠 본선과 비교하여 약간 높은 편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가미 철도#운임"을 참조.
오랫동안 노선명은 "이즈미노선" 뿐이었지만, 모회사 소테츠 홀딩스의 2023년 3월기 『유가 증권 보고서』[15][16], 레이와 5년(2023년)도판의 『철도 요람』부터 "소테츠 이즈미노선"으로 "소테츠"를 포함하는 노선명으로 변경되었으며[8][9], 소테츠의 웹사이트에서의 표기도 이와 같은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10][11] 다만 동시에 개칭된 소테츠 본선과 함께, 이하에서는 노선명의 "소테츠"는 생략하여 표기한다.
2. 2. 연혁
- 1976년 4월 8일: 후타마타가와역 - 이즈미노역 구간이 개통되었다.[6]
- 1990년 4월 4일: 이즈미노역 - 이즈미추오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92년 8월 1일: 모든 역에 흡연 코너를 설치하고, 그 외 장소는 종일 금연으로 지정하였다.[12]
- 1999년
- 2월 27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쾌속 운행을 시작하였다.[13]
- 3월 10일: 이즈미추오역 - 쇼난다이역 구간이 개통되었다.[6][13]
- 2006년 5월 20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낮 시간대의 쾌속 운행 간격을 10분 간격에서 20분 간격으로 줄였다. 평일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쾌속 열차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09년
- 6월 26일: 간토 주요 사철에서 약 20년 만에 파업으로, 전 노선에서 운전을 첫차부터 오전 7시까지 중단하였다.
- 11월 1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낮 시간대의 운행 패턴이 21분 간격으로 변경되어 각 역의 매 시간 출발 시각이 불규칙해졌다.
- 2012년 4월 29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의 쾌속 운행을 중단하였다. 모든 쾌속 열차가 호시카와역에서 완급 연결을 실시하게 되었다. 낮 시간대의 운행 패턴이 평일은 20분 간격, 토요일 및 공휴일은 30분 간격으로 변경되어 각 역의 매 시간 출발 시각을 통일하였다.
- 2014년
- 3월 20일: 2009년 이후 5년 만의 파업으로 전 노선에서 운전을 첫차부터 오전 7시까지 중단하였다.
- 4월 27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특급 운행을 시작하였다. 낮 시간대의 쾌속 운행을 중단하였다.
- 2015년 5월 31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낮 시간대의 쾌속 운행이 1년 만에 부활하였다. 특급 열차가 매시 1편으로 줄었다.
- 2017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쾌속 운행 시간대가 확대되었다.
- 2019년 11월 30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특급을 폐지하고, 통근 특급 및 통근 급행을 신설하였다.[14]
- 2023년
- 노선명이 "소테츠 이즈미노선"으로 변경되었다.[8][9][15][16]
- 3월 18일: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하네자와요코하마다이역 - 신요코하마역 구간 및 도큐 신요코하마선 개통으로, 쇼난다이역에서 도큐 도요코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부 도조 본선 (일부는 도큐 메구로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영 지하철 미타선·사이타마 고속철도선) 간에 직통 운전을 시작하였다.[2][17][18][19][20][21] 시간표 개정을 통해 특급(도큐선 직통만)을 재개하였다.[22][23]
3. 노선 정보
항목 | 내용 |
---|---|
노선 거리 | 11.3km |
궤간 | 1067mm |
역 수 | 8역 (양쪽 끝 역 포함) |
복선 구간 | 전선 |
전철화 구간 | 전선 (직류 1500V) |
최고 속도 | 100km/h (미나미마키가하라 ~ 료쿠엔토시 간) |
보안 장치 | ATS-P |
디지털 열차 무선 채널 | 5ch |
4. 운행 형태
본선의 지선으로 운행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본선을 경유하여 요코하마까지 직통 운행한다.
- '''각역정차'''(各駅停車|가쿠에키테샤일본어)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 '''쾌속'''(快速|가이소쿠일본어)은 후타마타가와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하며, 요코하마까지 쓰루가미네역, 니시야역, 호시카와역에만 정차한다.
- '''통근 쾌속''' 열차는 후타마타가와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
- '''통근 특급'''(通勤特急|쓰킨톳큐일본어) 열차는 쇼난다이역과 요코하마역 사이에서 이즈미노역, 후타마타가와역, 쓰루가미네역, 니시야역에만 정차한다.[14]
1999년 2월 27일 - 쾌속 운행을 시작했다.[13]
2014년 4월 27일 - 특급 운행을 시작했다.
2019년 11월 30일 - 특급을 폐지하고 통근 특급 및 통근 급행을 신설했다.[14]
2023년 3월 18일 - 소테쓰 신요코하마선 개통으로 특급 (도큐선 직통만)을 재개했다.[22][23]
낮 시간대 운행 패턴은 아래와 같다.
등급\역명 | 직통 노선 | 후타마타가와 | … | 쇼난다이 | ||
---|---|---|---|---|---|---|
운행 범위 | 각역정차 | 본선·이즈미노선 계통 | 요코하마← | 4개 | ||
소테쓰 신요코하마선·도큐선 직통 계통 | 가와고에시← | 1개 | ||||
와코시← | 1개 |
4. 1. 열차 등급
소테쓰 이즈미노선의 열차는 본선의 지선으로 운행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본선을 경유하여 요코하마까지 직통 운행한다.이즈미노선을 운행하는 열차 등급은 "각역정차"만 있었지만, 1999년 2월 27일에 "쾌속"이 신설되었고, 2014년 4월 27일에는 "특급"이 이즈미노선 내에서 처음으로 속달 운전을 하는 등급으로 신설되었다.[25] 2019년 11월 30일에는 특급이 폐지되고 "통근 특급"·"통근 급행"이 신설되었다.[14]
2023년 3월 18일 소테쓰 신요코하마선 개통에 따른 시간표 개정으로 특급 운행이 재개되었다.
뉴타운을 품고 있는 이즈미노 선은 요코하마 중심부나 도쿄 도심부로의 지향성이 강하므로, 시간표 구성도 본선과의 연계가 강하며, 많은 열차가 후타마타가와 역에서 본선으로 직결 운행하여 니시야 역을 거쳐 요코하마·신요코하마 방면으로 향한다. 본선의 야마토·에비나 방면으로의 직통 운행은 후타마타가와 역에서 회차하는 방향이 되기 때문에 회송 열차를 제외하고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통근 급행은 전 열차 10량 편성으로, 그 외의 등급은 10량 편성 또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이즈미노선 내에서는 이즈미노 역에서 완급 결합을 하는 열차도 있다.
모두 통근형 차량으로 운행되며, 승차권만으로 승차할 수 있다. 소테츠 본선에서 운행되는 종별도 존재하기 때문에, 접속 열차 등은 "본선 특급"처럼 "(계통)(종별)"로 표기한다.
- '''특급'''(特急|톳큐일본어)
영어 표기는 "'''Limited Express'''"이다. 종별 색상은 주황색(하행 열차), 분홍색(도큐 도요코선 직통)이다.
현재의 특급은 2023년 3월 18일 소테쓰 신요코하마선 연장 및 도큐 도요코선 방면을 중심으로 하는 도큐선 직통 운전 개시에 맞춰 운행이 재개되었으며[22], 소테츠선 내에서 가장 빠른 종별이다.
특급은 2014년 4월 27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신설된 종별[25]로, 기존 터미널역으로 해왔던 요코하마 역을 경유하지 않는 가나가와 동부 방면선의 건설 진척에 따라, 요코하마역의 공동화를 피하기 위해, 동역 및 그 주변 시설의 리뉴얼 등과 함께 "현(県) 중앙 지역과 요코하마역을 보다 빠르게 연결하여 이용객의 이탈을 억제한다"라는 목적으로 설정되었으며, 이전부터 계획되어 있었다[31]。 단, 이즈미노선 내에서는 2019년 11월 30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일단 휴지되었다.[14]。
2023년 3월 18일 다이어 개정의 운행 개요에 대해 계통별로 나누어 나타낸다.
- * 도큐 메구로선 직통 계통(도에이 미타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큐 메구로선 - 쇼난다이)
- ** 소테츠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메구로선 내로 운행하는 계통이며, 평일 하행 2개 열차 및 토휴일 하행 1개 열차로 설정되어 있다. 1개 열차는 메구로 발로 운행되며, 평일의 다른 1개 열차는 우라와미소노 발로 운행된다.
-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8량 편성이다.
- * 도큐 도요코선 직통 계통(도부 토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 - 쇼난다이)
- ** 소테츠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도요코선 내로 운행하는 계통이며, 아침 및 저녁을 중심으로 운행된다. 토휴일 하행의 설정은 없다.
- ** 도부 토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도큐 신요코하마선을 발착하며, 히요시 (발만)·시부야·와코시·시키·가와고에시 (착만)·신린코엔을 발착으로 운행되고 있다.
- ** 도큐 도요코선 내에서는 급행으로 운행된다. 기본적으로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내는 각역 정차, 도부 토조선 내는 보통으로 운행되지만, 평일 상행 1개 열차가 부도심선 내를 통근 급행으로 운행하며, 평일 하행 1개 열차가 도부 토조선 내 급행으로 운행한다.
-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10량 편성이다.
- '''통근특급'''(通勤特急|쓰킨톳큐일본어)
영어 표기는 "'''Commuter''' '''Limited Express'''"이다. 종별 색상은 주황색(소테쓰 선내 완결, 2023년 3월 18일 이후 정기 설정 없음), 분홍색(도큐 도요코선 직통) 및 하늘색(도큐 메구로선 직통)이다. 2019년 11월 30일 시간표 개정으로 신설된 종별이다.[32] 당초에는 요코하마역행 열차로 운행되었으나,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으로 도큐선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이즈미노선 내 정차역은 특급과 같으며, 본선 쓰루가미네역에 정차한다는 점만 특급과 다르다.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의 운행 개요는 다음과 같다.
- * 도큐 도요코선 직통 계통(토부 토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 - 쇼난다이역)
- ** 소테쓰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도요코선 내로 운행되는 계통이며 평일 오전 6~7시대에 1편, 8시대에 3편의 총 6편이 설정되어 있다.
- ** 토부 토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을 종착역으로 하며, 시부야・신주쿠산초메・와코시・가와고에시행으로 운행된다.
- ** 도큐 도요코선 내는 급행으로 운행된다. 와코시행 및 가와고에시행에 대해서는 부도심선 내는 통근 급행으로 운행하며, 토부 토조선 내는 보통으로 운행된다. 신주쿠산초메행에 대해서는 부도심선 내는 각역정차로 운행된다.
-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10량 편성이다.
- * 도큐 메구로선 직통 계통(도영 미타선 - 쇼난다이)
- ** 소테쓰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메구로선 내로 운행되는 계통이며 평일 오전 7시대에 다카시마다이행이 1편 설정되어 있다.
- ** 도큐 메구로선 내는 급행으로 운행된다.
- ** 편성 차량 수는 8량 편성이다.
- '''통근 급행'''
'''Commuter Express'''(통근 급행)는 영어 표기이며, 열차 종별 색상은 빨간색이다. 2019년 11월 30일 시간표 개정으로 신설된 열차 종별이다.[14]
이즈미노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하며, 본선 츠루가미네역·니시야역 정차 후 요코하마역까지는 무정차 통과한다. 상행선은 쇼난다이역을 평일 아침 6시부터 7시 사이에 5편이 운행되며, 모두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는 요코하마역을 잇는 유일한 급행 열차이다.
- '''쾌속'''(快速|가이소쿠일본어)
영어 표기는 "'''Rapid'''"이다. 종별 색상은 파란색(2007년 11월 2일 이전에는 녹색)이다.
2023년 3월 18일 개정 이후에는, 아침 러시 시간대의 상행, 13시대 - 15시대를 제외하고 대체로 설정이 있지만, 이즈미노선 내에서의 운전 간격은 패턴화되어 있지 않고 각역 정차를 대체하는 형태로 운전되고 있다. 이즈미노선의 쾌속은 모든 열차가 본선 요코하마역 - 쇼난다이역 구간을 운행하며, 중간역 발착 열차는 없다.
이즈미노선은 개업 이후 각역 정차만 운행되었지만, 1999년(헤이세이 11년) 3월 10일 쇼난다이역으로의 연장 개업을 앞둔 2월 27일의 시간표 개정에서 이즈미노선 최초의 속달 열차로서 쾌속이 신설되었다. 같은 해 3월 9일까지 11일 동안은 이즈미추오역 행으로 운행했으며, 이즈미추오역 - 쇼난다이역 간의 신규 개업 구간은 회송 취급으로 승무원 훈련을 했다.
1999년 등장 당시에는 아침 러시 시간대와 낮 시간대에 한하여 운행되었으며, 낮에는 12분 간격으로 운행되었다. 2003년 시간표 개정에서는 10분 간격으로 증편, 2006년 시간표 개정에서는 각역 정차를 섞어 운행 간격을 20분 간격으로 줄이는 대신, 운행 시간대를 늘려 하루 운행 횟수를 거의 유지하는 꼼수 개정이 이루어져, 저녁, 야간에도 설정되게 되었다. 2012년 개정에서 니시야역 공사 때문에 아침 러시 시간대의 운행이 휴지되었다.
2014년 시간표 개정에서는 낮 시간대가 특급으로 격상되었지만, 2015년 5월 31일 시간표 개정에서는 1편 증편 및 1편 격하의 형태로 부활했다. 2019년 11월 30일 시간표 개정에서는 새롭게 본선 니시야역이 정차하게 되었다. 2021년 3월 13일 시간표 개정에서는 아침 시간대와 평일 저녁 러시 하행을 제외하고 설정이 없어지고, 각역 정차로 대체되거나 감편되었다.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 현재
- * 모든 열차가 요코하마역 - 이즈미노선 쇼난다이역 간을 운행하며, 중간역 발착 열차는 없다.
- * 편성 량수는 기본적으로 10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일부 열차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 * 일부 열차는 도큐 차량으로 운행되며, 토휴일 하행 2편(8량 편성 및 10량 편성 1편씩), 토휴일 상행 1편(10량 편성)이 설정되어 있다.
- '''각역정차'''(各駅停車|가쿠에키테샤일본어)
영어 표기는 "'''Local'''"이다. 종별 색상은 검은색 또는 회색(소테쓰선 내에서 종착하는 열차)(2007년 11월 2일 이전에는 흰색(상행), 및 파란색(하행)[33]), 분홍색(도큐 도요코선 직통) 및 하늘색(도큐 메구로선 직통)이다. 각역정차는 각역정차의 약칭으로, 그 이름처럼 소테쓰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종별 막이나 노선도 등에서는 "각정"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지만, 역이나 차내 안내 방송 등에서는 "각역정차"로 방송하는 경우가 많다.
종일 운행된다. 주간 시간대 패턴 다이어그램에서는 대략 1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1시간에 4대가 본선 요코하마와 연결되는 계통, 2대가 소테쓰 신요코하마선·도큐 신요코하마선·도큐 도요코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으로 직통하며, 이 중 1대는 도부 도조선의 가와고에시역까지 운행된다. 오전 중 및 토요일, 공휴일의 저녁에는 도큐 메구로선과 연결되는 열차도 운행된다.
개업 당초에는 주간에 20분 간격으로 운행되었으며, 그 중 절반만 본선으로 직통하여 요코하마역까지 운행되었다. 그 후 몇 차례 증편되었지만, 1999년 2월 27일에 "쾌속"이 설정되면서 주간의 모든 열차가 쾌속으로 대체되어, 이 시간대의 각역정차 설정은 사라졌다. 그러나 2006년 5월 시간표 개정에서는 주간의 "쾌속"이 감편되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시 설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 시점의 운행 개요는 다음과 같다.
- * 본선 직통 계통
- ** 이즈미노선 방면으로는, 모든 열차가 요코하마역 - 이즈미노선 쇼난다이역 간을 운행하며, 중간역 발착 열차는 없다.
- ** 이전부터 다수 운행되고 있어 가장 운행 횟수가 많다.
- ** 기본적으로 후타마타가와역에서 본선 계통의 열차와 완급 결합을 한다.
- ** 주간 시간대에는 매 시 4대 설정되어 있다.
- ** 편성 차량 수는 10량 편성 및 8량 편성 모두 운행된다.
- ** 일부 열차는 도큐 차량으로 운행되며, 토요일, 공휴일 하행 4대(8량 편성·10량 편성 각 2대), 토요일, 공휴일 상행 2대(8량 편성·10량 편성 각 1대)가 설정되어 있다.
- * 이즈미노선 계통
- ** 이른 아침 심야를 중심으로 운행되며, 기본적으로 후타마타가와역 - 쇼난다이역 간을 운행하지만, 이른 아침 상행 1대는 후타마타가와역 - 이즈미노역 간을 운행한다.
- ** 일부 열차는 도큐 차량으로 운행되며, 하행 1대(평일은 8량 편성·토요일, 공휴일은 10량 편성 2대), 토요일, 공휴일 상행 1대(10량 편성)가 설정되어 있다.
- * 도큐 메구로선 직통 계통(도에이 미타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큐 메구로선 - 쇼난다이)
- ** 소테쓰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메구로선 내로 직통하는 계통이며, 아침, 저녁을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다.
- ** 도큐 메구로선·도에이 미타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사이타마 고속철도 사이타마 스타디움선을 발착하며, 무사시코스기(착만)·오쿠사와(발만)·메구로(발만)·니시타카시마다이라·아카바네이와부치(발만)·우라와미소노역을 발착으로 운행된다.
- ** 도큐 메구로선 내는 기본적으로 급행으로 운행되지만, 평일 하행 4대, 평일 상행 3대, 토요일, 공휴일 하행 2대, 토요일, 공휴일 상행 2대는 각역정차로 운행된다.
-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8량 편성이다.
- * 도큐 도요코선 직통 계통(도부 도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 - 쇼난다이)
- ** 소테쓰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도요코선 내로 직통하는 계통이며, 주간 시간대에는 가와고에시 발착과 와코시 발착이 각각 1대씩 설정되어 있다.
- ** 도부 도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도큐 신요코하마선을 발착하며, 히요시(발만)·시부야·신주쿠산초메·센가와(발만)·와코시·시키·가와고에시·신린코엔역을 발착으로 운행된다.
- ** 도큐 도요코선 내는 급행으로 운행된다. 기본적으로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내는 각역정차, 도부 도조선 내는 보통으로 운행되지만, 평일 1왕복만 부도심선 내를 통근 급행으로 운행하며, 평일 하행 1대가 도부 도조선 내를 급행으로 운행한다.
-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10량 편성이다.
- '''급행'''
영어 표기는 "'''Express'''"이다. 종별 색상은 빨간색이다. 1986년(쇼와 61년) 4월 6일, 이즈미노선 개업 10주년을 기념하여, 요코하마역 - 이즈미노역(당시에는 이즈미노역이 이즈미노선의 종점) 사이에 급행(중간역 무정차[34])이 당시 최신예였던 신 7000계에 의해 운행되었다.[35]。 그 후, 1987년(쇼와 62년) 4월 12일에도, 요코하마역 - 이즈미노역 사이에 급행이 신 6000계 "미도리엔토시호"에 의해 운행되었다.[36]。
등급\역명 | 직통 노선 | 후타마타가와 | … | 쇼난다이 | ||
---|---|---|---|---|---|---|
운행 범위 | 각역정차 | 본선·이즈미노선 계통 | 요코하마← | 4개 | ||
소테츠 신요코하마 선·도큐선 직통 계통 | 가와고에시← | 1개 | ||||
와코시← | 1개 |
4. 2. 운행 패턴
본선의 지선으로 운행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본선을 경유하여 요코하마까지 직통 운행한다.- '''각역정차(各停)''' 열차는 후타마타가와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하며, 일부 열차는 요코하마까지 본선의 모든 역에 정차하며 운행한다.
- '''쾌속(快速)''' 열차는 후타마타가와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하며, 요코하마까지 쓰루가미네역, 니시야역, 호시카와역에만 정차한다.
- '''통근 쾌속''' 열차는 후타마타가와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
- '''통근 특급(通勤特急)''' 열차는 쇼난다이역과 요코하마역 사이에서 이즈미노역, 후타마타가와역, 쓰루가미네역, 니시야역에만 정차한다.[14]
1999년 2월 27일 - 시간표 개정을 통해 쾌속 운행을 시작[13].
2014년 4월 27일 - 시간표 개정을 통해 특급 운행을 시작.
2019년 11월 30일 - 시간표 개정을 통해, 특급을 폐지. 통근 특급 및 통근 급행을 신설[14].
2023년 3월 18일 -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개통으로 특급 (도큐선 직통만)을 재개[22][23].
이즈미노 선을 운행하는 열차 등급은 기존에는 "각역정차"만 있었지만, 1999년 2월 27일에 "쾌속"이 신설되었고, 2014년 4월 27일에는 "특급"이 이즈미노선 내에서 처음으로 속달 운전을 하는 등급으로 신설되었다[25]。2019년 11월 30일에는 특급이 폐지되고 "통근 특급"·"통근 급행"이 신설되었다[14]。
2023년 3월 18일 소테츠 신요코하마 선 개통에 따른 시간표 개정으로 특급 운행이 재개되었다.
등급\역명 | 직통 노선 | 후타마타가와 | … | 쇼난다이 | ||
---|---|---|---|---|---|---|
운행 범위 | 각역정차 | 본선·이즈미노선 계통 | 요코하마← | 4개 | ||
소테츠 신요코하마 선·도큐선 직통 계통 | 가와고에시← | 1개 | ||||
와코시← | 1개 |
; 특급
'''특급'''(特急|톳큐일본어)은 영어 표기는 "'''Limited Express'''"이다. 종별 색상은 주황색(하행 열차), 분홍색(도큐 도요코선 직통)이다.
현재의 특급은 2023년 3월 18일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연장 및 도큐 도요코선 방면을 중심으로 하는 도큐선 직통 운전 개시에 맞춰 운행이 재개되었으며[22], 소테츠선 내에서 가장 빠른 종별이다.
2023년 3월 18일 다이어 개정의 운행 개요에 대해 계통별로 나누어 나타낸다.
:; 도큐 메구로선 직통 계통(도에이 미타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큐 메구로선 - 쇼난다이)
:: 소테츠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메구로선 내로 운행하는 계통이며, 평일 하행 2개 열차 및 토휴일 하행 1개 열차로 설정되어 있다. 1개 열차는 메구로 발로 운행되며, 평일의 다른 1개 열차는 우라와미소노 발로 운행된다.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8량 편성이다.
:; 도큐 도요코선 직통 계통(도부 토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 - 쇼난다이)
:: 소테츠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도요코선 내로 운행하는 계통이며, 아침 및 저녁을 중심으로 운행된다. 토휴일 하행의 설정은 없다.
:: 도부 토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도큐 신요코하마선을 발착하며, 히요시 (발만)·시부야·와코시·시키·가와고에시 (착만)·신린코엔을 발착으로 운행되고 있다.
:: 도큐 도요코선 내에서는 급행으로 운행된다. 기본적으로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내는 각역 정차, 도부 토조선 내는 보통으로 운행되지만, 평일 상행 1개 열차가 부도심선 내를 통근 급행으로 운행하며, 평일 하행 1개 열차가 도부 토조선 내 급행으로 운행한다.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10량 편성이다.
; 통근특급
'''통근 특급'''(通勤特急)은 영어 표기는 "'''Commuter''' '''Limited Express'''"이다. 종별 색상은 주황색(소테쓰 선내 완결, 2023년 3월 18일 이후 정기 설정 없음), 분홍색(도큐 도요코선 직통) 및 하늘색(도큐 메구로선 직통)이다. 2019년 11월 30일 시간표 개정으로 신설된 종별이다[32]。 이즈미노선 내 정차역은 특급과 같으며, 본선 쓰루가미네역에 정차한다는 점만 특급과 다르다.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의 운행 개요는 다음과 같다.
:; 도큐 도요코선 직통 계통(도부 토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 - 쇼난다이역)
:: 소테쓰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도요코선 내로 운행되는 계통이며 평일 오전 6~7시대에 1편, 8시대에 3편의 총 6편이 설정되어 있다.
:: 토부 토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을 종착역으로 하며, 시부야・신주쿠산초메・와코시・가와고에시행으로 운행된다.
:: 도큐 도요코선 내는 급행으로 운행된다. 와코시행 및 가와고에시행에 대해서는 부도심선 내는 통근 급행으로 운행하며, 토부 토조선 내는 보통으로 운행된다. 신주쿠산초메행에 대해서는 부도심선 내는 각역정차로 운행된다.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10량 편성이다.
:; 도큐 메구로선 직통 계통(도영 미타선 - 쇼난다이)
:: 소테쓰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메구로선 내로 운행되는 계통이며 평일 오전 7시대에 다카시마다이행이 1편 설정되어 있다.
:: 도큐 메구로선 내는 급행으로 운행된다.
:: 편성 차량 수는 8량 편성이다.
; 통근급행
'''Commuter Express'''(통근 급행)는 영어 표기이며, 열차 종별 색상은 빨간색이다. 2019년 11월 30일 시간표 개정으로 신설된 열차 종별이다[14]。
이즈미노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하며, 본선 츠루가미네역·니시야역 정차 후 요코하마역까지는 무정차 통과한다. 상행선은 쇼난다이역을 평일 아침 6시부터 7시 사이에 5편이 운행되며, 모두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는 요코하마역을 잇는 유일한 급행 열차이다.
; 쾌속
'''쾌속'''(快速|가이소쿠일본어)은 영어 표기는 "'''Rapid'''"이다. 종별 색상은 파란색이다.
2023년 3월 18일 개정 이후에는, 아침 러시 시간대의 상행, 13시대 - 15시대를 제외하고 대체로 설정이 있지만, 이즈미노선 내에서의 운전 간격은 패턴화되어 있지 않고 각역 정차를 대체하는 형태로 운전되고 있다. 이즈미노선의 쾌속은 모든 열차가 본선 요코하마역 - 쇼난다이역 구간을 운행하며, 중간역 발착 열차는 없다.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 현재
: 모든 열차가 요코하마역 - 이즈미노선 쇼난다이역 간을 운행하며, 중간역 발착 열차는 없다.
: 편성 량수는 기본적으로 10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일부 열차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 일부 열차는 도큐 차량으로 운행되며, 토휴일 하행 2편(8량 편성 및 10량 편성 1편씩), 토휴일 상행 1편(10량 편성)이 설정되어 있다.
; 각역정차
'''각역정차'''(各駅停車|가쿠에키 데샤일본어)는 영어 표기는 "'''Local'''"이다. 종별 색상은 검은색 또는 회색(소테쓰선 내에서 종착하는 열차), 분홍색(도큐 도요코선 직통) 및 하늘색(도큐 메구로선 직통)이다. 각역정차는 각역정차의 약칭으로, 그 이름처럼 소테쓰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종별 막이나 노선도 등에서는 "각정"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지만, 역이나 차내 안내 방송 등에서는 "각역정차"로 방송하는 경우가 많다.
종일 운행된다. 주간 시간대 패턴 다이어그램에서는 대략 1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1시간에 4대가 본선 요코하마와 연결되는 계통, 2대가 소테쓰 신요코하마선·도큐 신요코하마선·도큐 도요코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으로 직통하며, 이 중 1대는 도부 도조선의 가와고에시역까지 운행된다. 오전 중 및 토요일, 공휴일의 저녁에는 도큐 메구로선과 연결되는 열차도 운행된다.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 시점의 운행 개요는 다음과 같다.
:; 본선 직통 계통
:: 이즈미노선 방면으로는, 모든 열차가 요코하마역 - 이즈미노선 쇼난다이역 간을 운행하며, 중간역 발착 열차는 없다.
:: 이전부터 다수 운행되고 있어 가장 운행 횟수가 많다.
:: 기본적으로 후타마타가와역에서 본선 계통의 열차와 완급 결합을 한다.
:: 주간 시간대에는 매 시 4대 설정되어 있다.
:: 편성 차량 수는 10량 편성 및 8량 편성 모두 운행된다.
:: 일부 열차는 도큐 차량으로 운행되며, 토요일, 공휴일 하행 4대(8량 편성·10량 편성 각 2대), 토요일, 공휴일 상행 2대(8량 편성·10량 편성 각 1대)가 설정되어 있다.
:; 이즈미노선 계통
:: 이른 아침 심야를 중심으로 운행되며, 기본적으로 후타마타가와역 - 쇼난다이역 간을 운행하지만, 이른 아침 상행 1대는 후타마타가와역 - 이즈미노역 간을 운행한다.
:: 일부 열차는 도큐 차량으로 운행되며, 하행 1대(평일은 8량 편성·토요일, 공휴일은 10량 편성 2대), 토요일, 공휴일 상행 1대(10량 편성)가 설정되어 있다.
:; 도큐 메구로선 직통 계통(도에이 미타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큐 메구로선 - 쇼난다이)
:: 소테쓰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메구로선 내로 직통하는 계통이며, 아침, 저녁을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다.
:: 도큐 메구로선·도에이 미타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사이타마 고속철도 사이타마 스타디움선을 발착하며, 무사시코스기(착만)·오쿠사와(발만)·메구로(발만)·니시타카시마다이라·아카바네이와부치(발만)·우라와미소노역을 발착으로 운행된다.
:: 도큐 메구로선 내는 기본적으로 급행으로 운행되지만, 평일 하행 4대, 평일 상행 3대, 토요일, 공휴일 하행 2대, 토요일, 공휴일 상행 2대는 각역정차로 운행된다.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8량 편성이다.
:; 도큐 도요코선 직통 계통(도부 도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 - 쇼난다이)
:: 소테쓰 이즈미노선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도요코선 내로 직통하는 계통이며, 주간 시간대에는 가와고에시 발착과 와코시 발착이 각각 1대씩 설정되어 있다.
:: 도부 도조선·도쿄 메트로 부도심선·도큐 도요코선·도큐 신요코하마선을 발착하며, 히요시(발만)·시부야·신주쿠산초메·센가와(발만)·와코시·시키·가와고에시·신린코엔역을 발착으로 운행된다.
:: 도큐 도요코선 내는 급행으로 운행된다. 기본적으로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내는 각역정차, 도부 도조선 내는 보통으로 운행되지만, 평일 1왕복만 부도심선 내를 통근 급행으로 운행하며, 평일 하행 1대가 도부 도조선 내를 급행으로 운행한다.
:: 편성 차량 수는 모두 10량 편성이다.
4. 3. 열차 번호 및 운행 번호
2023년 3월 18일부터 적용된 열차 번호는 다음과 같다.[26]열차 종류 | 번호 | 설명 |
---|---|---|
특급 (도요코선 직통) | 3750- | |
특급 (메구로선 직통) | 3850- | |
통근 특급 (도요코선 직통) | 3900- | |
통근 특급 (메구로선 직통) | 3950- | |
통근 급행 | 1950- | |
쾌속 | 2500- | |
각역 정차 (본선 직통) | 6700- | |
각역 정차 (도요코선 직통) | 7400- | |
각역 정차 (메구로선 직통) | 7550- | |
각역 정차 (이즈미노선 내 완결 열차) | 7700- | |
시운전 열차 | 8000- | |
임시 시운전 열차 | 8700- | |
회송 열차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직통 하자와요코하마코다이 발착 계통) | 9200- | |
회송 열차 (이즈미노선 계통) | 9500- | |
회송 열차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직통 신요코하마 발착 계통) | 9700- | |
임시 회송 열차 | 9900- |
여객 열차는 보통 각역 정차를 의미한다. 하행은 홀수, 상행은 짝수로 각 열차 종류마다 번호가 부여된다.
5. 차량
이즈미노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소테쓰 본선과 공통으로 사용된다. 모두 통근형 차량으로, 승차권만으로 승차할 수 있다.[27][28][29][30]
소테쓰·도큐 직통선 계통의 열차에는 소테쓰 20000계·21000계와 도큐 5050계 4000번대·3020계·5080계·3000계가 운용된다. 그 외 소테쓰선(본선·이즈미노선) 내에서만 운행되는 열차에는 소테쓰의 모든 현행 차량(일부 열차는 도큐의 차량)이 운용된다.
차량 편성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차량 종류 | 10호차 | 9호차 | 8호차 | 7호차 | 6호차 | 5호차 | 4호차 | 3호차 | 2호차 | 1호차 |
---|---|---|---|---|---|---|---|---|---|---|
소테츠 20000계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 |
소테츠 차량 10량 편성(20000계 제외)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 |
도큐 5050계 4000번대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 |
차량 종류 | 8호차 | 7호차 | 6호차 | 5호차 | 4호차 | 3호차 | 2호차 | 1호차 | ||
소테츠 차량 8량 편성 | 8 | 7 | 6 | 5 | 4 | 3 | 2 | 1 | ||
도큐 3020・5080・3000계 | 8 | 7 | 6 | 5 | 4 | 3 | 2 | 1 |
- 소테츠 20000계는 모든 차량, 12000계는 모든 차량, 그 외 소테츠 차량 10량 편성 형식은 1・10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 도큐 5050계 4000번대는 2・9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 소테츠 차량 8량 편성 중 21000계는 모든 차량, 10000계는 1・8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 도큐 3020・5080・3000계 중 3020계는 모든 차량, 그 외 형식은 2・4・5・7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에비나·쇼난다이 방면에서 2번째 차량(10량 편성 9호차, 8량 편성 7호차)을 약냉방차로 하고 있다. 단, 8량 편성의 경우 도큐 메구로선에서 직결 운행하는 차량(3020계·5080계·3000계)에 한하여 4호차가 약냉방차가 된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의 상행 열차에서는 여성 전용 차량이 운영되며, 열차의 행선지에 따라 설정 호차 및 시간대가 다르다.[23]
- 요코하마역행 열차: 평일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요코하마역에 도착하는 상행 열차의 맨 뒷 차량(10량 편성 10호차, 8량 편성 8호차).
- 도큐 도요코선 직통 열차: 평일 아침 첫차부터 9시 30분까지의 상행 전 열차의 맨 앞 차량(10량 편성 1호차).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이케부쿠로역까지 운행하며, 운행 구간 중간이라도 9시 30분에 일제히 종료된다.
도큐 메구로선 직통 열차 및 평일 낮 이후 및 토, 일, 공휴일 다이어에서는 여성 전용 차량은 운영되지 않는다.
6. 역 목록
거리 (km)
거리 (km)







